24.07.03(수), KOTRA 카사블랑카무역관 제공
1. 모로코 대외교역 동향
◦ 2024년 1~5월간 對外수입은 3,088억 디람(약 309억 달러)를 기록하여 전년(2023) 동기대비 2.3% 증가
- 완제품, 소비재, 반제품 수입은 늘었고, 식료품, 농산물, 에너지는 줄었음. 특히 철/비합금강 반제품 수입은 22억 디람으로 전년 동기대비 310% 증가함
< 2024년(1~5월) 모로코 대외교역 동향 >
(단위: 백만디람, %) 자료: 모로코 외환청
◦ 한국산 제품의 모로코 수입시장 점유율은 2022년 0.88%에서 2023년 0.94%로 0.06%포인트 증가하며, 일본에 앞서 23위 기록
< 모로코 주요 수입대상국 동향 >
(단위: 백만 달러, %) 자료: 모로코 외환청
□ 한-모로코 교역동향
< 최근 對모로코 교역 추이 >
(단위: 백만불, %) 자료: 한국 관세청
< 對모로코 주요 수출품목 >
(단위: 천불, %) 자료: 한국 관세청
< 對모로코 주요
(단위: 천불, %) 자료: 한국 관세청
2. 모로코 외국인투자(FDI) 동향
◦ 모로코의 외국인 직접투자유치 실적은 꾸준히 상승세를 보여 2023년 34.7억 달러(346억 디람), 2024년 1~5월 16.2억 달러 유치함
< 모로코 외국인 직접투자유치 추이 >
(단위: 백만 달러)
자료 : UNCTAD, 모로코 외환청
◦ 2023년 기준 모로코에 가장 많은 금액을 투자한 국가는 프랑스로서 112억 디람을 기록했으며, UAE(34억 디람), 영국(26억 디람), 스페인(25억 디람), 룩셈부르크(21억 디람) 順
< 주요 투자 국가 (2023년) >
(단위: 백만 디람)
자료 : 모로코 외환청
◦ 2023년 기준 가장 많은 외국인 직접투자가 이루어진 분야는 제조업으로서 11,054백만 디람을 기록했으며, 부동산(7,476백만 디람), 교통(2,430백만 디람), 에너지광물(222백만 디람) 順
< 분야별 위국인 직접투자 현황 (2023년) >
(단위: 백만 디람)
자료 : 모로코 외환청
3. 모로코 경제분야 주요 소식
■ 모로코 탕헤르메드 항구 물동량 세계 19위 (함부르크 22위)
ㅇ 아프리카 항구 최초로 20위내 진입
- 2007년부터 운영, 연간 900만 TEU 처리용량 (예산: 13.6억 유로)
* 화물처리실적 : 8,614,400 TEU(2023) 모로코 수출물량의 50+%
- 뉴욕(21), 함부르크(22) 보다 앞섰고 중동에선 두바이(10) 다음
- 주요 성장요인 : 홍해사태, 유럽 항구 탄소세 도입(’24.01.01)
■ 모로코 부유식 LNG터미널 입찰 추진
ㅇ LNG 수요 10억㎥(2024) ⇒ 80억㎥(2027)로 8배 증가 전망
- 모로코 나도르 웨스트 메드(Nador West Med) 항구에 부유식 액화천연가스(LNG) 터미널 건설 입찰추진 중
- 모로코 동ㆍ서부 가스전, 마그레브 유럽 가스 파이프라인(GME) 연결
2025년까지 건설, 시운전 마치고 2026년부터 상업운영 예정
- 발주처 : 모로코 에너지 전환부
■ 모로코 항공분야 투자활발
ㅇ 외국계 항공기업 對 모로코 투자 내역
(미) 보잉, Lockheed Martin, (유럽) Airbus, (캐) Bombardier, Pratt & Whitney, (불) Safran, (벨) Blueberry (스페인) Aciturri 등
- 수출액(2023) : 자동차(76억 달러), 항공(12억 달러)
(2024.1~5월) : 자동차(67억 달러, 12%↑), 항공(10억 달러, 17%↑)
- 모로코 국영항공사(RAM)
2030년까지 항공기 보유 4배 증대 추진 (50 ⇒ 200대)
■ 모로코 2차 배터리 투자유치 성공적
ㅇ 외국계 기업 對 모로코 투자 내역
- (‘23.09.19) (중) CNGR Advanced Material-(모) Al Mada JV 투자 발표
‘25 가동, Jorf Lasfar 200헥타르. 연 1백만대용 (20억 달러)
- (’24.06.06) 모. 정부-(중) Gotion High Tech EV 기가팩토리 투자계약 체결
‘26.6월 가동, Kenitra 자유구역 고용 2,300명 (1차: 13억 달러)
<모로코 내 추진 중인 중국 EV 배터리업계 투자진출 프로젝트>
자료 : 모로코 언론 le Desk
4. 양국간 무역투자프로젝트 관련 최근 이슈
□ 韓 현대로템, 모로코 철도청 전동차 입찰 프로젝트 참가
ㅇ 공급 범위: 고속철 96량 및 전동차 640량, 유지보수 20년 (JV)
ㅇ 예상 경쟁사: 알스톰, 카프, 지멘스, 히타치, CRCC(중국)
'모로코 비지니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 정부, 모로코를 아프리카 무역 전략의 핵심 대상으로 선정-출처 Hespress (1) | 2024.09.01 |
---|---|
모로코 부과세법 변경 -2024년7월1일부터 (0) | 2024.07.06 |
모로코 투자헌장 (2) | 2023.06.21 |
토마토: 모로코,스페인을 능가,세계 3위 수출국 (0) | 2023.05.27 |
약속의 땅 모로코 -최고의 투자처 (2) | 2023.02.03 |